\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아파트 취득세율 계산기(다주택자, 1주택자, 법인)

by hyggesig 2025. 4. 17.

아파트를 매수할 때 적용되는 취득세율은 보통 1%로 많이 알고 계실 텐데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고 주택의 가격은 얼마인지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주택이 몇 체인지에 따라 또는 지역이 어디인지에 따라서 적게는 1% 많게는 12% 까지도 차이가 납니다

1~2 주택의 경우에는 취득세가 1~2%이기 때문에 그렇게 부담이 되지는 않는데 3 주택자 이상의 경우는 8%, 법인의 경우에는 12%까지 이고  조정대상지역의 경우에는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해서 부담스러운데요 

 

아파트_취득세율_계산기

 

그럼 지금부터 각각의 조건에 대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파트 취득세율 계산기

 

아래의 표를 보면 좀 더 쉽게 이해가 가실 텐데요 주택 수에 따라 대상지역에 따라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1 주택자 기준

 

주택가격 취득세율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전용 85㎡ 초과시)
6억 이하 1% 0.1% 0.2%
6억~9억 1.01%~3% 0.1~0.3%
9억 초과 3% 0.3%

 

먼저 하나의 주택만 소유하게 되는 경우에는 조정지역이든 그렇지 않든 주택 가격에 따라서만 달라지는데 6억 이하의 경우 1%, 9억 이상의 경우 3%로 보면 되고 그사이인 6억~9억은 가격에 따라서 계산을 하면 되는데 1.01~3% 사이입니다

지방교육세는 취득세의 1/10이며 농어촌특별세는 85㎡ 초과시에만 발생되며 모두 0.2%입니다

 

다주택자, 법인 기준

 

구분 조정대상지역 비조정대상지역
2주택자 8% 1~3%
3주택자 12% 8%
법인, 4주택자이상 12% 12%

 

2채를 소유하게 되는 경우는 조정대상지역은 8%, 비조정지역의 경우에는 1 주택과 동일합니다

3채를 소유하게 되는 경우에는 조정대상지역은 12%, 비조정지역의 경우에는 8%입니다

4채 이상을 소유하게 되는 경우나 법인의 경우에는 조정대상지역이든 비조정대상지역이든 동일하게 12%를 적용받게 됩니다

 

 

마치며

 

몇년전까지만 해도 아파트를 구입할 때는 무조건 1.1%의 취득세율만 내면 되어서 복잡하게 계산을 하지 않아도 되었는데 부동산 경기가 너무 과열되어서 조정지역 따로 비조정지역 따로 1 주택자, 다주택자, 법인은 또 따로 이렇게 분리를 하다 보니 너무 복잡해져 버렸습니다

그래서 본인에 맞는 세율을 찾아서 적용을 해도 되지만 이게 너무 복잡하다면 [부동산 계산기]를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알 수가 있으니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5.03.13 - [부동산 정보] - 네이버부동산 매물등록방법 비용 없이 무료로 올리기

 

네이버부동산 매물등록방법 비용없이 무료로 올리기

네이버부동산에 매물을 등록하는 방법이 중개인만 가능한 줄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공인중개사가 아니고 개인이지만 비용 없이 2건까지 무료로 올릴 수도 있답니다실제로 저는 이런

hyggesig.tistory.com

 

2025.03.25 - [부동산 정보] - 집합건물 등기부등본 인터넷 열람 및 등기사항전부증명서 발급방법

 

집합건물 등기부등본 인터넷 열람 및 등기사항전부증명서 발급방법

등기부등본은 등기사항전부증명서라고도 하는데 인터넷으로 열람할 수도 있고 동사무소나 등기소에 직접 가서 창구나 무인기를 통해서 발급이 가능한데 온라인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방법을

hyggesi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