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아파트 매매를 할 때 보통 용적률이 낮은 아파트를 최우선으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하지만 용적률만 보았다가 작은 세대수만 많이 있어서 나중에 일반분양 세대수가 거의 없는 경우가 있어 낭패를 볼 수도 있어요
그래서 여기에 세대당 평균 대지지분까지 계산을 해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은데요 용적률이 낮으면서 세대당 평균대지지분까지 높다면 금상첨화입니다
여기에 또 하나 보아야 할 것은 2종 일반주거지역인지 3종인지 인데요
1종은 아파트의 경우 거의 없기도 하고 있어도 재건축이 되기가 힘들기 때문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요
아파트는 대부분 2, 3종인데 같은 용적률 같은 세대당 평균대지지분을 가지고 있어도 몇 종인지에 따라 일반분양 세대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체크를 꼭 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특히 2종은 층수제한이 있고 3종은 층수제한이 없기 때문에 같은 가격에 매매를 하였다고 하여도 재건축이 되었을 때 분담금이 크게 달라지고 수익성 면에서 많은 차이가 나게 됩니다
2종 일반주거지역인지 3종 일반주거지역인지 어떻게 알 수가 있나요?
확인하는 방법은?
그렇다면 이 부분은 어떻게 확인을 할 수가 있을까요?
지금부터 체크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먼저 경기도의 경우에는 경기도부동산포털 사이트에서 찾아볼 수가 있는데요
https://gris.gg.go.kr/map/main/grisMapView.do?mapCd=05
지도서비스
gris.gg.go.kr
부동산종합정보에서도 찾아볼 수도 있지만 지도서비스의 토지이용계획을 이용하면 더 편하게 이용할 수가 있어요
범례에서 색으로도 알 수가 있지만 색이 비슷해서 이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 수가 있잖아요
그럴 때는 해당하는 부분을 더블클릭하면 좀 더 자세한 내용이 보이게 되는데요
공시가격과 대지면적과 함께 토지이용계획에 보면 몇 종인지 알 수가 있어요
그렇다면 다른 지역은 어떻게 찾아봐야 할까요?
타 지역의 경우에는 토지이음이라는 사이트에서 가능한데요
https://www.eum.go.kr/web/am/amMain.jsp
토지이음
이음지도, 용어사전, 질의회신사례, 규제법령집, 주민의견청취 공람, 도시계획통계 제공
www.eum.go.kr
여기에서 주소를 검색해서 찾아볼 수도 있고 지도로도 찾을 수가 있어요
저는 주소를 직접 넣어서 찾아보았어요
토지이용계획 열람을 클릭하면 여러 가지 정보를 찾아볼 수가 있답니다
소재지와 대지면적, 공시지가, 지역지구등 지정여부등을 알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재건축 아파트 매매를 알아보실 때 2종인지 3종 일반주거지역의 차이가 무엇이고 왜 알아보아야 하는지 그리고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런 내용을 모르고 무턱대고 매매를 하는 경우와 알고 매매를 진행하는 경우 수익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 부분 꼭 체크를 하고 진행을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