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통계

이천 미분양 아파트 정보 조회 및 입주 예정 물량 확인

by hyggesig 2025. 5. 15.
반응형

이천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아주 상황이 좋았었는데 반도체 산업이 좋지 않은 영향에 따라 미분양 아파트가 증가되면서 현재는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이천시와 마찬가지로 평택도 반도체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으로 상황이 비슷하다고 볼 수가 있는데요 평택시의 상황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25.03.15 - [부동산 통계] - 평택 아파트 브레인시티, 화양지구 미분양 현황 및 2028년까지 입주물량

 

평택 아파트 브레인시티, 화양지구 미분양 현황 및 2028년까지 입주물량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잘 나갔었던 평택이지만 현재는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특히 화양지구와 브레인시티, 가재 쪽에서 아파트를 소화를 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2025년, 2026년, 2027년 그리고 2028년까

hyggesig.tistory.com

 

 

목차
1. 미분양 아파트 현황
2. 미분양 아파트 리스트
3. 2025년~2028년까지 입주물량

 

이천_미분양_아파트_정보_조회

 

1. 이천 미분양 아파트 현황

 

 

먼저 그래프를 보면 2024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를 한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이 지역은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아주 높고 길어 보이네요

 

 

이천시는 2025년 3월 기준 미분양 아파트 세대수는 1,607이며 대부분 준공 전이며 그래도 악성은 없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위치가 좋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분양률이 낮았는데 서희스타힐스 같은 경우 343 가구 모집에 23 가구가 신청했고 롯데캐슬의 경우 792 가구 신청에 165 가구만이 신청을 하는 등 심각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미분양 아파트 리스트

 

단지명 총세대수 입주시기
서희스타힐스SKY 936세대 2029년 1월
부발역에피트 703세대 2028년 5월
롯데캐슬센트럴페라즈스카이 801세대 2027년 9월
중리지구A-2블록신안인스빌퍼스티지 532세대 2026년 11월
힐스테이트이천역2단지 885세대 2026년 7월

 

3. 2025년~2028년까지 입주물량

 

 

앞으로의 이천시의 입주물량을 보면 올해는 별로 없고 2026년에 대부분이 몰려있는데 무려 5,065세대가 입주를 해야 하는데 내년을 어떻게 넘길 수 있을지 잘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단지명 입주시기 총세대수
서희스타힐스스카이 2029년 1월 936세대
부발역에피트 2028년 5월 671세대
롯데캐슬센트럴페라즈스카이 2027년 9월 801세대
자이더레브 2027년 4월 635세대
중리지구A-2블록신안인스빌퍼스티지 2026년 11월 523세대
자이더리체 2026년 8월 558세대
힐스테이트이천역2단지 2026년 7월 885세대
힐스테이트이천역1단지 2026년 7월 937세대
중리우미린어반퍼스트 2026년 6월 785세대
중리우미린트리쉐이드 2026년 2월 849세대
빌리브어바인시티1BL 2026년 1월 264세대
빌리브어바인시티2BL 2026년 1월 264세대
센트레빌레이크뷰 2025년 8월 180세대
  총 세대수 8,288세대

 

입주가 예정되어 있는 수량을 보자면 2025년에는 180 가구, 2026년에는 5,065 가구,  2027년에는 1,436 가구가 그리고 2028년에 671, 2029년에 936 가구의 아파트 입주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이천 미분양 현황은 어떻게 되는지 어떤 아파트가 아직 주인을 못 만났는지 그리고 앞으로 입주가 예정되어 있는 단지는 어디가 있는지 알아보았는데 2026년이 고비가 될 것 같습니다

 

2025.03.22 - [부동산 통계] - 원주 미분양 아파트 현황 및 2025년 2026년 입주물량

 

원주 미분양 아파트 현황 및 2025년 2026년 입주물량

원주는 한때 미분양 아파트가 증가해서 우려를 낳은 적도 있지만 현재는 점차 줄고 있는 편인데 현황은 어떻게 되는지 2025년, 2026년 입주물량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볼까 합니다작년 6월 기준 2,00

hyggesig.tistory.com

 

 

반응형